표구의 사회사 - 기록되지 않았던 미술 이야기

'표구'란 종이나 비단에 그린 작품의 감상과 보존, 보관, 이동을 위해 가장자리와 뒷면을 튼튼하게 보강하는 일이다. 이런 표구의 기본 목적은 작품의 뒷면에 종이를 두 겹, 세 겹으로 발라 튼튼하게 만들어 보존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작품에 어울리는 여러 색깔과 무늬의 비단을 배치하여 작품의 분위기를 한층 돋우는 일도 보존 못지않게 중요하다. 보다 넓은 의미로는 훼손되었거나 낡은 작품을 수리 • 복원하는 기술까지도 포함된다. 이처럼 표구로 마무리하는 과정이 필요한 작품으로 종이나 비단에 먹이나 물감으로 그린 그림을 꼽을 수 있고 서예나 자수, 탁본도 마찬가지다. 작가의 손을 떠난 작품은 표구 과정을 거치면서 족자, 병풍, 액자의 형태를 갖추게 되고 벽에 걸리거나 바닥에 세워져 감상의 대상이 될 준비를 마친다. (17) '표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종이나 비단에 쓰인 글씨와 그림, 곧 서화(書)의 뒷면에 다른 종이를 덧발라 보관과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기술은 중국 한나라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처음 중국에서는 이 기술을 가리켜 '장황(裝潢)', '장배(裝背)'라고 했다. '장(裝)'은 '단장한다' 즉 꾸민다는 뜻이며 '황(潢)'도 '책을 꾸민다'는 뜻을 지니는데 동시에 황벽(黃蘗)나무 즙으로 염색한다는 의미도 있다. 곧 책 표지를 노랗게 물들이는 일을 가리키며, 고대 불교 경전을 황벽나무에서 뽑아낸 노란 즙으로 물들인 데에서 비롯되었다. 황벽나무의 즙은 벌레나 세균이 싫어해서 이렇게 물을 들이면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18) 일본인 표구사가 차린 전문 상업 표구점은 확실히 조선 미술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사실 비단 상업 표구점뿐이 아니었다. 일본을 통해 유입된 '미술'과 관련된 모든 것이 조선에게는 '근대'라는 새로운 세계를 실감하게 만들었다. 아니,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