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이 군대를 갔다고?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압락사스.(123) 데미안과 싱클레어가 사춘기 시절에 만나 이바구했다는 기억만 있습니다. 저 구절만 남았던 《데미안》을 한 세대가 지나 다시 읽었습니다. 무언가 불가능한 걸 요구하여 굴욕을 주고 서서히 협상하게 만든 크로머를 데미안이 어떻게 제압했는지 궁금합니다. 언제나 불안했던 겁쟁이 싱클레어에게 사람을 무서워하지 말라며 데미안은 "악마이기도 한 신 하나를 갖든지, 아니면 신에 대한 예배와 더불어 악마에 대한 예배도 만들어야 한다(126)"고 했습니다. 싱클레어는 데미안이 말한 신이기도 하고 악마이기도 한 압락사스를 찾아다닙니다. 그러다 우연히 오르간 연주를 하는 피스토리우스를 만납니다. 신부가 될 뻔한 신학도였던 피스토리우스는 정상적인 인간이 되면 압락사스가 떠난다고 알려줍니다. 피스토리우스는 "우리가 어떤 사람을 미워한다면, 우리는 그의 모습 속에, 바로 우리들 자신 속에 들어앉아 있는 그 무엇인가를 보고 미워하는 것(152)"이라고 말합니다. 피스토리우스와 데미안은 서로 모르는데 같은 말을 했습니다. 피스토리우스는 골동품 냄새가 났습니다. 낭만주의자이자 과거를 향한 구도자였기 때문입니다. "누구나 관심 가질 일은, 아무래도 좋은 운명 하나가 아니라, 자신의 운명을 찾아내는 것이며, 운명을 자신 속에서 완전히 그리고 굴절 없이 다 살아내는 일" 즉 "자기 자신에게로 가는 것(172)"을 찾으며 싱클레어의 학창 시절이 끝났습니다. 우리는 깨어난 사람들, 혹은 깨어나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우리의 노력은 점점 더 완벽한 깨어 있음을 지향했다. 반면 다른 사람들의 노력과 행복 추구는, 그들의 의견, 그들의 이상과 의무들, 그들의 삶과 행복을 점점 더 긴밀하게 패거리에 묶는 것이었다. 그곳에도 노력은 있었다. 그곳에도 힘과 위대함은 있었다. 그러...